본문 바로가기

메이슨의 포스트

[문법기본] 조동사 could 의미를 알아보자. 학습목표 1. could 의미. 2. be able to 와 차이점. 첫번째 의미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 (능력있어) ~일 수도 있다. ~할 수도 있다. 할지 안할지는 반반? 45% 느낌입니다. 두번째 의미 : can의 과거형. “(과거얘기중에 미래에) ~일 수도 있다. ~할 수도 있다.” 과거에 can 으로 표현될 상황을 현재에 언급하고자 할 때 쓰입니다. “~일 수 있었다.”, “~할 수 있었다.” 가 자연스러운 해석이 되겠네요. 첫번째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.능력이 있음을 표현하고, 실제 행위를 하고 말고는 자유 선택입니다. ('능력있음'에 대해서는 'can' 편에서 확인.)행위를 할 확률이 좀 더 낮다고 느껴지기는 해요. ('can'은 55% 느낌.) Could he go? 그가..
[문법기본] 조동사 can 의미를 알아보자. 학습목표 1. can 의미. 2. can 과 could 차이점. can : ~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 (능력있어) ~일 수 있다. ~할 수 있다. 실제 할지 안할지는 반반? 약간 높은 55% 느낌입니다. 능력이 있음을 표현하고, 실제 행위를 하고 말고는 자유 선택입니다.행위를 할 확률이 좀 더 높다고 느껴지기는 해요. ('could'는 45% 느낌.)대화중에는 '해도될까?' , '할게.' 이런 의미로 인식되어요. 한글로 먼저 볼게요. 나는 요리할 줄 알아. 너 요리할 수 있어? 이건 요리할 줄 아냐고 묻는 표현이네요. 나는 청소를 할게. 너 요리할 수 있어? 이렇게 말하면 요리를 할거냐고 묻는 표현이 되겠죠? 영어도 마찬가지에요. Can you cook? 이 문장만 있다면 둘다 가능한 말이에요. 요리할..
[실전표현] 'would like to' 는 왜 '~하고 싶다' 일까? 학습목표 1. would + like to 의미확인 2. 기출 반복 학습 would : (의지있어) ~할거다. ~일거다. 의지있는 만큼 높은 느낌(70%)으로 ~할거다. ~일거다. like to : ~하기를 좋아한다. would like ~ing 로 쓰는것도 가능할까요?(~ing -vs- to do 편 확인.) 'would like to' 를 직역하면 '~하기를 좋아할거다'가 됩니다.would를 뺀 like to 와 비교해 볼까요. I like to do shopping. 나는 쇼핑하기를 좋아한다.엄밀히 말해서는 미래에 쇼핑할 것을 좋아한다는 뜻이에요. '쇼핑하기' 자체를 좋아한다고 하려면 I like doing shopping. (or) I like shopping. I would like to do ..
[문법기본] 조동사 would는 언제 사용하지 학습목표1. would의 의미2. 왜 would를 사용할까 would 는 두가지 의미가 있습니다.첫번째 : “~일 거다. ~할 거다.” will과 다르게, would는 의지를 가지고 또는 가진것만큼 높은 느낌(70%)으로 “~할 거다.” 라는 의미입니다. 우리나라 말로는 "~할거같다. ~일거같다" 도 어울리는 해석이 되겠네요. 두번째 : will의 과거형으로 쓰입니다. “(과거얘기중에 미래에) ~일 거다. ~할 거다.” 과거에 will 로 표현되었던 상황을 현재에 언급하고자 할 때 쓰입니다. “~일 거였다.”, “~할 거였다.” 가 자연스러운 해석이 되겠네요. 두가지 뜻 중 어느것이 더 어울리는지, 둘다 어울리는지는 문맥에서 자연스럽에 알 수 있습니다. 연습문. It would be there. 그것은 ..
[문법기본] 조동사 will, must, shall, should, would, can, could, may, might 비교 학습목표9개 조동사의 느낌차이. 아래 9개 조동사는 전부 ~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 를 표현합니다.그리고 각자 다른 뜻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. (단어마다 별도 챕터로 확인하세요.) will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 (확률느낌 없음, 그냥 그럴거다.)미래 사실에 대한 언급이에요. must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99.99% 느낌. 틀림없이 ~일 것이다. 틀림없이 ~해야한다. shall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95% 느낌.꼭 ~일 것이다. 꼭 ~할 것이다. (현대 영어에 거의 안쓰여요. 우리나라 느낌으로는 "~하게 되리라" 가 어울립니다.) should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90% 느낌. (의무있어) ~이어야 한다. (권장되어)~해야한다. would : ~ 일 ..
[문법기본] will have pp 학습목표 1. will have pp 의미. 2. have pp 와 차이점. will : ~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have : 가지다.p.p : 행위를 한 상태. 동작을 한 상태를 미래에 가질 것이라는 의미입니다. (미래에는) ~행위한 상태일 것이다.(미래에는) ~해왔을 것이다. (미래에는) ~했을 것이다. 의미상으로 (미래에)~해놓을거다. 라고 해석하는게 자연스러워요. -- 수능, 모의고사 기출 없음. -- I will do it. 직역 : 나는 그것을 할거야. I will have done it. 직역 : 내가 그것을 했을거야.직역하면 '했을거야' 이지만, '내가 그거 해놓을게'로 이해하면 자연스러워요.(would have done it. 과의 차이는 "would -vs- will" 에서 확인.) ..
[문법기본] had pp 학습목표 1. had+p.p 의미. 2. have+p.p 와의 차이점. had : 과거시점에 가졌다p.p : 행위를 한 상태 p.p(present perfect) 는 동사의 형태를 바꾸어서 '행위를 한 상태'를 나타냅니다.'형용사' 처럼 사용 될 수 있어요.우리말로 '현재완료' 입니다. 과거임을 나타내 주는 것은 'had' 입니다. 과거시점에 행위를 한 상태를 가지고 있으므로, 과거보다 과거(대과거)에 행위를 했음을 표현합니다.과거보다 과거(대과거) 시점에 행위를 해서 그 상태를 과거 그때까지 가져왔다는 의미이죠. 현재는 어쩌고 있는지는 모릅니다. (과거보다 전에) ~한 적이 있다.(과거보다 전에) ~해왔다.(과거보다 전에) ~했다.해석은 문맥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면됩니다. He had tried mor..
[문법기본] 'have pp' 와 '동사의 과거형' 비교 학습목표. 1. '동사의 과거형' 과 'have+p.p' 의 차이점. 동사의 과거형 : 과거 특정 시점에 사건이 일어났다. have+p.p : 과거 행위를 했고 현재까지 행위한 상태를 가지고 있다.p.p (present perfect) Marjorie Kinnan Rawlings, an American author born in Washington, D.C. in 1896, wrote novels with rural themes and settings. I wrote novels. 의미 : 나는 소설들을 썼었다.과거에 썼었다는 정보는 주지만 현재는 쓰는지 안쓰는지 모릅니다. I have written novels. 의미 : 나는 소설들을 써왔다.과거 언젠가 소설을 쓰기 시작해서 지금도 쓰고 있다는 의미입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