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습목표
1. could 의미.
2. be able to 와 차이점.
첫번째 의미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(능력있어) ~일 수도 있다. ~할 수도 있다.
할지 안할지는 반반? 45% 느낌입니다.
두번째 의미 : can의 과거형.
“(과거얘기중에 미래에) ~일 수도 있다. ~할 수도 있다.”
과거에 can 으로 표현될 상황을 현재에 언급하고자 할 때 쓰입니다.
“~일 수 있었다.”, “~할 수 있었다.” 가 자연스러운 해석이 되겠네요.
첫번째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.
능력이 있음을 표현하고, 실제 행위를 하고 말고는 자유 선택입니다. ('능력있음'에 대해서는 'can' 편에서 확인.)
행위를 할 확률이 좀 더 낮다고 느껴지기는 해요. ('can'은 55% 느낌.)
Could he go? 그가 갈 수도 있을까요?
He could go. 그는 갈 수도 있지.
능력이 있음을 말하면서 '아닐수도 있겠다' 느낌을 담았어요.
그래서 'Can' 보다 불확실한 경우에 쓰여요.
Can he go? 그가 갈 수 있을까?
He can go. 그는 갈 수 있지.
'can'을 사용하면 'could' 보다는 그럴꺼 같다는 느낌이 드네요.
우리나라 말로도 불확실하게 표현하는게 있죠.
이거 해줄 수 있어요?
이거 해줄 수도 있을까요?
비슷하게 'could'는 하기싫으면 안할수도 있다는 느낌이 많게 표현하면서 공손해 지는거에요.
상황에 따라서는 요청이나 허락을 표현하는 것일수도 있어요.
I want to go home. Could I go? 가도 되는지 물어보구요.
I want to meet you. Could you come? 올 수 있는지 물어보구요.
이 모든게 원어민에게는 한가지의 의미에요.
could : (능력있어, 45%느낌으로) ~할수도 있다. ~일수도 있다.
능력은 있지만 45% 느낌으로 안하는 확률이 약간 높은 의미라서
그럴수도 있지만 하지 않을 만한 일을 얘기하기도 가능합니다.
I’m so fed up I could scream!
난 너무 지겨워서 비명을 지를 수도 있어! (진짜 나오는건 아니고) 나올 지경이야!
I'm so fed up I can scream!
난 너무 지겨워서 비명을 지를 수 있어! (진짜 할거라구)
이번엔 두번째 의미에 대해 알아볼게요.
Could you do that?
의미 : 저거 해줄 수 있어요?
이 표현이 과거 얘기중에 나오면,
I heard you tried to fix your computer. Could you do that?
의미 : 난 니가 컴퓨터 고치려했다고 들었어. 할 수 있었어?
과거 시점에서 'Can you do that?' 으로 물어볼 사건을 현재에서 언급하려니 'can의 과거형'으로 표현합니다.
현재를 서술하는 중에 나온다면, 첫번째 의미처럼 쓰이겠죠.
I want you to fix my computer. Could you do that?
의미 : 난 니가 내 컴퓨터를 고치지 원해. 니가 할 수도 있을까?
의역하자면 '저거 해줄 수 있어요?' 가 되죠.
'Could'가 '~할 수 있었다' 인지 Can의 과거 표현인지는 앞뒤 문맥에 따라 자연히 알게됩니다.
두번째 의미도 '(과거에) ~일 수도 있다.' 이니까 첫번째 의미랑 별 차이가 없죠.
위에 말했듯이 원어민에게는 한가지 의미입니다.
could : (능력있어, 45%느낌으로) ~할수도 있다. ~일수도 있다.
이번엔 be able to 와 차이를 볼게요.
I heard you tried to fix your computer. Could you do that?
이 문장에서 대답을 해봅시다.
I could.
can의 과거형으로 '나는 할 수 있었다' 라는 의미죠.
확률은 거의 반반이구요. (45% 인지 55% 인지는 중요하지 않아요.)
그럼 실제로 했다는건가요?
엄밀히 말하면 그 정보는 모르는 겁니다.
그냥 할 수 있었다는 능력에 대해 말했을 뿐이에요.
문맥상 했다고 봐도 의사소통에는 무리가 없겠지만요.
했다는걸 확실히 표현하고 싶을때는 어떻게 할까요.
그때 'be able to' 를 사용합니다.
be able to (능력과 의지있어) ~할 수 있다.
할 의지도 있고 할 수 있는 능력도 있는 느낌입니다.
의역하자면 '기꺼이(어떻게든) ~할 수 있다.' 입니다.
I was able to fix it.
직역 : 나는 기꺼이 하려했고 고칠 능력이 있었다.
의미 : 나는 (기꺼이) 할 수 있었어. 실제로 했다.
I am able to pick you up.
의미 : 나는 (기꺼이) 너를 데리러 갈 수 있어. 갈거야.
했는지 안했는지 확실히 알고 싶어 물어본다면 이렇게 표현할 수도 있겠네요.
I heard you tried to fix your computer. Were you able to do that?
'메이슨의 포스트 > 수능영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문법기본] 조동사 can 의미를 알아보자. (0) | 2019.03.06 |
---|---|
[실전표현] 'would like to' 는 왜 '~하고 싶다' 일까? (1) | 2019.03.05 |
[문법기본] 조동사 would는 언제 사용하지 (1) | 2019.03.03 |
[문법기본] 조동사 will, must, shall, should, would, can, could, may, might 비교 (1) | 2019.03.01 |
[문법기본] will have pp (0) | 2019.03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