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메이슨의 포스트/수능영어

[문법기본] 조동사 will, must, shall, should, would, can, could, may, might 비교

<2018 수능(홀수형) 26.>



학습목표

  • 9개 조동사의 느낌차이.



아래 9개 조동사는 전부 ~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 를 표현합니다.

그리고 각자 다른 뜻을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. (단어마다 별도 챕터로 확인하세요.)



will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(확률느낌 없음, 그냥 그럴거다.)

미래 사실에 대한 언급이에요.


must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99.99% 느낌. 틀림없이 ~일 것이다. 틀림없이 ~해야한다.


shall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95% 느낌.

꼭 ~일 것이다. 꼭 ~할 것이다. (현대 영어에 거의 안쓰여요. 우리나라 느낌으로는 "~하게 되리라" 가 어울립니다.)


should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90% 느낌. (의무있어) ~이어야 한다. (권장되어)~해야한다.


would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70% 느낌. (의지를 가지고) ~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
can : ~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55% 느낌.

(능력있어) ~일 수 있다. ~할 수 있다.


could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45% 느낌. (능력있어) ~일 수도 있다. ~할 수도 있다.


may : ~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30% 느낌.

~일지 모른다. ~할지 모른다. (잘 안쓰임. might로 충분.)


might : ~ 일 것이다. ~할 것이다.

15% 느낌.

(어쩌면)~일지도 모른다. (어쩌면)~할지도 모른다.





예시문.


I go.

의미 : 나는 간다.


I will go.

의미 : 나 갈거야. 그냥 그럴거야.


I must go.

직역 : 나 틀림없이 갈거야. 99.99% 확률로 갈거야.

의미 : 나 틀림없이 갈거야.(꼭 가야해.)

'갈거야'와 '가야해' 사이의 차이는 한국어로 바꾸는 과정에서 더 어울리는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.

원어민 입장에서는 같은 의미에요.


I should go.

직역 : 나 갈만한 의무가 있어. 가는 편이 권장되니까 90% 확률로 갈거야.

의미 : 나 가야해.


I would go.

직역 : 나는 갈 의지가 있어 70% 확률로 갈거야.

의미 : 나 갈거야. 나라면 갈거야.

“나라면~” 이 더 어울리는 경우는 문장이 쓰이는 문맥에서 자연스럽게 알 수 있습니다.

역시 한국어로 바꾸는 과정에서 더 어울리는 것뿐 원어민 입장에서는 같은 의미에요.

          Tomorrow, I would go. 내일, 나 갈거야.

          If I were you, I would go. 만약 내가 너야, 나라면 갈거야.


I can go.

직역 : 나 갈 능력이 돼. 능력은 있고 갈지 안갈지는 내맘이니 반반? 에서 좀 높게 55% 확률로 갈거야.

의미 : 나 갈 수있어.


I could go.

직역 : 나 갈 능력이 될것 같아. 능력은 있고 갈지 안갈지는 내맘이니 반반? 에서 좀 낮게 45% 확률로 갈거야.

의미 : 나 갈수도 있어.

'could' 는 'can' 의 과거형으로 쓰일 수도 있어요. (could 편 확인.)

여기서는 '~일것이다. ~할것이다.' 쓰인 경우만 봅니다.


I might go.

직역 : 나 어쩌면 갈지도 몰라. 거의 못 갈 것 같긴 한데 15% 확률로 갈거야.

의미 : 나 어쩌면 갈지도 몰라.




Participants will receive a volleyball and a camp T-shirt.

<2018 수능(홀수형) 26>



Participants will receive a volleyball.

의미 : 참가자들은 한 발리볼을 받을거야. 그냥 그럴거야.


Participants must receive a volleyball.

의미 : 참가자들은 한 발리볼을 틀림없이 받을거야.


Participants should receive a volleyball.

의미 : 참가자들은 한 발리볼을 (권장되어) 받아야해.


Participants would receive a volleyball.

의미 : 참가자들은 한 발리볼을 (받으려는 의지있어) 받을거야.


Participants can receive a volleyball.

의미 : 참가자들은 한 발리볼을 (능력있어) 받을수 있어.

진짜 받을지 말지는 자유에요.

받는 느낌이 살짝 우세합니다.


Participants could receive a volleyball.

의미 : 참가자들은 한 발리볼을 (능력 있을것 같아) 받을수도 있어.

안받거나 못받는 느낌이 살짝 우세합니다.


Participants might receive a volleyball.

의미 : 참가자들은 한 발리볼을 (어쩌면) 받을지도 몰라.

못받을거라는 느낌이 우세합니다.




For example,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should probably master principles of addition before moving to multiplication, because multiplication is an extension of addition.

<2019 6월모의 40번>

master : ~을 (완전히) 익히다.


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ill master principles of addition.

의미 : 한 초등학교 학생은 덧셈의 원리들을 익힐것이다.


An elementary school student must master principles of addition.

의미 : 한 초등학교 학생은 덧셈의 원리들을 틀림없이 익혀야한다.


An elementary school student should master principles of addition.

의미 : 한 초등학교 학생은 덧셈의 원리들을 (의무있어) 익혀야한다.


An elementary school student would master principles of addition.

의미 : 한 초등학교 학생은 덧셈의 원리들을 (의지있어) 익힐것이다.


An elementary school student could master principles of addition.

의미 : 한 초등학교 학생은 덧셈의 원리들을 (능력있어) 익힐 수도 있다.

실제로 익힐지 말지는 학생 마음이에요.


An elementary school student might master principles of addition.

의미 : 한 초등학교 학생은 덧셈의 원리들을 (어쩌면) 익힐지도 모른다.




If I were you, I would go.

의미 : 내가 너라면, (의지있어) 갈거야.

가정을 했으면 의지있는 정도의 70% 느낌으로 얘기하는 편이 가장 자연스럽겠지요.


If I were you, I should go.

의미 : 내가 너라면, (의무있어) 가야해.

가능합니다.

우리나라말로 '~해야한다'라고 인식되어 안되는것 같지만

'should'는 강한 확률로 한다는 느낌이에요.


If I were you, I could go.

의미 : 내가 너라면, (능력있어) 갈수도 있어.

가능하지만 굳이 이런 표현은 잘 안쓰겠죠.


If I were you, I might go.

의미 : 내가 너라면, (어쩌면) 갈지도 모르지.

이것도 'could'와 마찬가지로 가능하지만 많이 안쓰겠네요.


If I were you, I will go.

의미 : 내가 너라면, (사실) 갈거야.

이 문장은 틀렸습니다.

앞에서 가정을 했는데, 사실을 얘기할 수는 없어요.